2025/07/12 2

장마철마다 넘치는 쓰레기, 문제는 빗물이 아니다

장마철이면 어김없이 반복되는 풍경이 있다. 폭우가 쏟아진 다음 날, 도심 하천이나 바닷가에 끝없이 떠내려온 쓰레기들이 가득 쌓여 있는 모습이다. 어제까지 맑던 물은 갈색 흙탕물로 변해 있고,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용기, 비닐봉지, 음료수 병, 담배꽁초 등이 뒤엉켜 악취를 풍긴다. 많은 이들이 “비가 너무 많이 와서 쓰레기가 쓸려 내려갔나 보다” 정도로만 생각하지만, 그 배경에는 보다 복잡하고 심각한 환경 문제가 숨어 있다.한국처럼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에서는 장마철마다 우수관을 통한 생활 쓰레기의 유입, 비닐 포장재의 대량 배출, 미세플라스틱의 바다 유입이라는 구조적 문제들이 겹치면서, 환경오염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기후위기로 인한 집중호우와 도시화로 인해 이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제로웨이스트 2025.07.12

무라벨 생수, 진짜 친환경일까?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생수를 고르다 보면 최근 들어 한 가지 눈에 띄는 변화가 있다. 투명한 페트병에 라벨이 없는 생수, 일명 ‘무라벨 생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마치 브랜드가 없는 제품처럼 보이기도 했지만, 이제는 다양한 기업들이 앞다퉈 무라벨 제품을 내놓고 있다. 이런 변화를 보면 단순한 포장 방식의 변화가 아닌, 환경 보호를 위한 새로운 흐름이라는 점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하지만 이런 의문도 생긴다. “라벨 하나 없는 게 그렇게 큰 도움이 될까?”, “무라벨이라고 해서 진짜 다 친환경적인 걸까?”, “일반 생수와 얼마나 차이가 날까?” 실제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라벨 하나 떼는 것이 과연 얼마나 의미 있는 행동인지 실감하기 어렵다. 또 무라벨이 단순히 기업 마케팅의 일환인지, 아니..

제로웨이스트 2025.07.12